--> I'm Lucky 최근글 <--

'DJIA'에 해당되는 글 48건




  1. 2010.04.15 베이지북 Beige Book 2010년 4월호 _FRB, 미국 경제상황 보고 _10.04.14
  2. 2010.02.09 다우지수 연간 변동성 평균, 전망 _다우존스,DJIA _1983~2010
  3. 2010.02.05 주가 하락 어떻게 볼 것인가? 주식시장, 지수 변동성의 이해
  4. 2009.09.19 코스피 포트폴리오 4차, 제시 예정 _Kospi, 09.09.19
  5. 2009.09.16 미국 경기침체 종결, 회복 국면 들어선다 _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Retail Sales, Business Inventories _09.09.15 2
  6. 2009.07.17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_09.07.16 _Unemployment Claims _522K, 의미있는 감소
  7. 2009.07.16 미국 산업생산, Industrial Production 7월 -0.4% _09.07.16
  8. 2009.07.16 미국증시, 다우지수 급등의 원인 _8,616p _09.07.16 _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1

2010년의 세번째 베이지북인 4월호 'Beige Book'이 4월 14일(현지) 미국에서 발표되었습니다.

베이지북(Beige Book)은 미국의 경제상황, 경기동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제지표로 미국 연방준비은행(FRB, Federal Reserve Bank)가 연간 8회 작성하여 공개합니다.

2010녀 4월호는 올 해의 3번째 베이지북으로, 1월 13일, 3월 3일(현지)에 각각 1, 2호가 발행된 바 있습니다.

이번 4월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보면,

"지난 보고서 이후로 모든 지역의 경제 활동의 개선되고 있다. (세인트루이스 제외) 
소매 판매와 자동차 판매도 늘어나고 있고, 관광산업도 개선되고 있다.
제조업 경기도 개선세에 있다.

주택착공과 주거용 부동산 시장을 비롯한 주택 경기, 건설 경기도 개선의 조짐이 보인다.
반면에 상업용 부동산은 여전히 약세에 머물러 있다.

노동시장은 여전히 약세이지만, 임금 상승 압박은 최소한에 머물러 있고,
소매 물가도 여전히 안정적이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고하여, 미국의 경기가 전 지역에서 개선세를 보이고 있음을 분명하게 했습니다. 



* 전미경제조사국(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는 2007년 12월부터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빠져들었다고 이미 선언한 바 있는데, 아직까지 '회복세'로 전환했다고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해당 자료에 의하면, 미국의 1945년부터 2001년까지 '경기 침체기'의 평균 지속기간은 10개월이라고 하는데, 현재의 침체 기간은 벌써 28개월이 넘어서고 있습니다.
(관련글, 미국 경제 침체기의 평균 지속기간)

그래서 NBER이 미국 경제침체기의 종료를 공식 선언할 날도 얼마 남지 않은거 같네요.

이러한 영향으로 미국 다우지수(다우존스 지수, DJIA)는 이날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베이지북(Beige Book)은 미국 지역 연방은행들이 수집한 미국 12개 지역의 경기동향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미국 경제상황과 동향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핵심지표로 FRB가 직접 발표합니다.

이들 12개 지역을 보면, Boston, New York, Philadelphia, Cleveland, Richmond, Atlanta, Chicago, St. Louis, Minneapolis, Kansas City, Dallas, San Francisco 입니다. (보스톤, 뉴욕, 필라델피아, 클리브랜드, 리치몬드, 아틀란타, 사카고, 세인트루이스, 미네아폴리스, 캔사스시티, 댈라스, 샌프라시스코)

다음 베이지북은 2010년 6월 9일(미국 현지)에 발표됩니다.

한편, 국내의 경우에도 코스피 지수가 먼저 움직인 감은 있으나, 2010년 연초의 시초가 1700p 부근에 4월 초반의 지수도 머물러 있기 때문에, 앞으로 연간 고점을 향해서는 여전히 상승의 폭이 열려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관련글] 
주식시장 지수 변동성의 이해  /  주식투자 몇 월부터 하는게 좋을까?  /  주식투자 반드시 해야 하나? 
이효리 주식 투자 실패, 연예인 주식투자 10개 지침


첨부 : FRB 베이지북 2010년 4월호 보고서 요약 전문 (2010.04.14 Beige Book)

Summary 요약

Prepared at the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and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before April 5, 2010. This document summarizes comments received from business and other contacts outside the Federal Reserve System and is not a commentary on the views of Federal Reserve officials.

요약 전문

Overall economic activity increased somewhat since the last report across all Federal Reserve Districts except St. Louis, which reported "softened" economic conditions. Districts generally reported increases in retail sales and vehicle sales. Tourism spending was up in a number of Districts. Reports on the services sector were generally mixed. Manufacturing activity increased in all Districts except St. Louis, and new orders were up. Many Districts reported increased activity in housing markets from low levels.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 activity remained very weak in most Districts. Activity in the banking and finance sector was mixed in a number of Districts, as loan volumes and credit quality decreased. Agricultural conditions were mixed as well, with positive conditions reported in Districts from the central and western parts of the country, while negative conditions were reported in the mid and southern Atlantic Districts. Mining and energy production and exploration increased for metals, oil and wind.

While labor markets generally remained weak, some hiring activity was evident, particularly for temporary staff. Wage pressures were characterized as minimal or contained. Retail prices generally remained level, but some input prices increased.

세부 항목

Consumer Spending and Tourism  소비자 소비, 관광
District reports indicated that consumer spending increased during the reporting period. New York and Cleveland reported that recent sales strengthened, while sales rebounded in Richmond and Kansas City. Slight sales gains were reported in Philadelphia. Retail sales in San Francisco continued to improve, but remained somewhat sluggish on net. In St. Louis several new establishments opened, particularly in the food industry. Several Districts described consumers as somewhat more confident. Businesses were cautiously optimistic regarding future sales: Cleveland, Atlanta, Kansas City and Dallas noted that retailers expect sales to improve during the upcoming months. Sales of home furnishings and electronic goods increased in a number of Districts, while seasonal apparel sales were up in New York, Philadelphia and Kansas City. New York and Minneapolis noted that shopping by Canadians was strong at businesses near the border. Atlanta reported that retailers continued to keep inventory levels lower than normal, and retailers in New York reported that inventories are in very good shape.

Vehicle sales improved in a number of Districts during March. New York, Philadelphia, Atlanta, Chicago, St. Louis, Minneapolis, Dallas and San Francisco noted that auto sales picked up in recent weeks. Cleveland described sales as decent, while sales were steady in Kansas City and mixed in Richmond. Several Districts noted that favorable pricing and credit terms helped lure buyers into showrooms. Dealers in Philadelphia indicated that they expect sales to increase during the next few months.

Tourism conditions also improved during the reporting period. New York, Richmond, Chicago, Minneapolis, Kansas City, Dallas and San Francisco pointed to signs of increased tourism activity. Tourism was described as stable in most parts of the Atlanta District. Hotel occupancy rates were rising in New York, Chicago, Kansas City, and San Francisco. Reports on room rates were mixed: New York and Kansas City noted increases, while Chicago reported rate cuts, particularly at luxury hotels. Managers at mountain resorts in the Richmond District reported that this winter was one of their best ski seasons ever. However, Atlanta noted that corporate bookings remained at very low levels at some high-end resorts.

Nonfinancial Services  비농업 서비스
Business services were mixed, with some signs of economic recovery. Boston and Minneapolis reported increased activity. Richmond and Dallas were mixed, while San Francisco said demand remained lackluster. St. Louis reported that the sector continued to decline. Advertising and consulting firms in Boston said demand is up substantially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9, while an advertising contact in Richmond and professional media services firms in San Francisco characterized sales as flat at low levels. Dallas reported sluggish demand for nontax-related accounting and legal services. Law firms in Minneapolis specializing in debt collections and bankruptcy saw strong demand, while a Richmond property manager noted a large number of repossessions.

Manufacturing   제조업
Manufacturing activity increased since the last report across most of the country, with all Districts other than St. Louis reporting increases in orders, shipments, or production. Boston, Cleveland, Chicago, Dallas and San Francisco reported positive results in metals and fabrication. Cleveland, Richmond, Atlanta and Chicago reported increased auto or auto component production. Boston, Richmond, Dallas, and San Francisco saw increased production in electronic, computers or high-technology goods. Chicago and Minneapolis saw increased production of energy-related products. However, for construction-related goods, Chicago and Dallas reported mixed conditions, Boston reported flat activity and St. Louis reported decreases. Overall, St. Louis saw more plant closures than plant openings.

Banking and Finance   은행 금융 
Bank lending activity was mixed by category in most Districts. Atlanta, St. Louis and Kansas City saw weaker loan demand across categories, while activity in San Francisco was flat at low levels and Dallas said that demand appears to be stabilizing. Demand for consumer credit decreased in New York and increased slightly in Philadelphia. Most banks in Cleveland reported weak consumer loan demand, although a few contacts saw a slight increase due to seasonal factors. Business and industrial loan volumes decreased in Philadelphia, Cleveland and Chicago and were flat in New York. San Francisco noted continued modest gains in venture capital funding.

Credit standards remained generally unchanged across the nation, while credit quality was mixed. New York, Cleveland and Kansas City reported tighter lending standards for commercial mortgages. In Atlanta several business contacts reported difficulty getting credit. Dallas and San Francisco said standards continued to be tight. New York saw increased delinquency rates for all categories except consumer loans, which were flat. Philadelphia and Richmond saw little change in credit quality, while Cleveland was mixed. Dallas reported that credit quality was either stabilizing or improving, and appeared to have turned a corner. Chicago noted an improvement in consumer and business loan quality, although credit quality for many small firms continued to decline.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부동산 건설
Residential real estate activity increased, albeit from low levels, in most Districts, with the exceptions of St. Louis, where it was mixed, and San Francisco, where it was flat. Contacts in Philadelphia, Cleveland and Kansas City expressed concern about whether sales would continue to grow after the expiration of the first-time home buyer tax credit. New York, Kansas City, Dallas and San Francisco noted sluggish sales for high-end homes. Home prices were stable across most Districts, but decreased in parts of the New York and Atlanta Districts. Residential construction activity increased slightly in New York, Atlanta, St. Louis, Minneapolis and Dallas, but remained weak in Cleveland, Chicago and San Francisco.

Commercial real estate activity was slow across the nation. Notable exceptions were Richmond, which saw an uptick in commercial leasing, and Dallas, where the sector was mixed and might be nearing bottom. In Boston, leasing activity consists largely of renewals, with many renewing tenants leasing less space. Manhattan Class A office rents were down 20 percent to 25 percent year over year. Contacts in Philadelphia, Richmond, Kansas City and Dallas expressed concern that lease concessions from landlords were putting downward pressure on rents. Commercial construction continued to be weak in most Districts. Cleveland saw some development in the energy and industrial segments.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농업 천연자원
Districts reported mixed results in agriculture. Atlanta reported that cold weather negatively affected crop conditions. Richmond, Kansas City, and Dallas noted that wet conditions delayed planting, though Dallas also commented that current soil moisture levels will be beneficial for the growing season. Chicago expected a normal planting schedule. Minneapolis and San Francisco indicated favorable weather conditions. The calving season is doing well in the Minneapolis District, but Chicago and Minneapolis noted softening dairy output prices.

Activity in the energy and mining sectors increased since the last report. Philadelphia, Atlanta, Minneapolis, Kansas City, Dallas and San Francisco saw increases in oil exploration. Coal production was mixed in the Philadelphia District and increased in the Kansas City District. In the Minneapolis District, more wind energy projects are planned, and mining activity increased.

Employment, Wages, and Prices  고용, 임금, 물가
While overall labor markets remained weak, some hiring activity was evident, particularly for temporary staff.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in Boston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while very little hiring occurred at major legal and financial firms in New York. In the Richmond District, job cuts subsided at retail businesses, and employment was stable at most other services firms. In Kansas City overall employment levels held steady, but more manufacturers and several energy-related firms planned to increase payrolls. Cleveland, Richmond, Atlanta, and Chicago reported strong demand for temporary workers. A pickup in employment was not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y Cleveland, with little change in staffing for retail, energy, transportation and banking. Atlanta noted that many businesses continued to increase hours worked for existing staff. Minneapolis reported that while labor markets remained weak, some signs of hiring were noted.

Wage pressures were characterized as minimal or contained. In Boston, most firms reported instituting or planning to institute modest wage increases of 2 percent to 3 percent in 2010, while performance bonuses in the services sector were generally down. Richmond reported that average wages edged higher in March in the services sector, but declined slightly in manufacturing. Most companies hiring new workers in the Kansas City District were not offering higher salaries to attract qualified applicants. Dallas reported that just a handful of firms were planning on partially reinstating employer matches to retirement plans or giving small pay increases. In Chicago wage pressures were minimal; however, an increase in health-care costs was noted. San Francisco also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costs of employee benefits, such as health insurance and pensions.

Retail prices generally remained level, but some input prices increased. Where producers faced cost pressures on inputs, they were largely unable to pass those prices downstream to selling prices, although in Kansas City some manufacturers were considering raising selling prices due to higher raw materials costs. In Boston retail vendor and selling prices were stable. Philadelphia reported that prices of most goods and services have been steady, although there were increased reports of rising prices for basic materials and construction-related products. Apart from rising prices for steel and petroleum-based products in Cleveland, raw materials and product pricing were generally stable. Richmond noted moderate price increase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Chicago reported upward pressure on prices for plywood, industrial metals and petroleum-based fuels. In the Dallas District prices of chemicals and related products rose sharply, primarily due to plant outages. Natural gas prices slipped during the reporting period because of continued high levels of production, low industrial demand and the end of the winter season. Richmond and San Francisco reported increased overseas shipping costs.

2010
January

13

HTML

273 KB PDF


February


March

3

HTML

925 KB PDF


April

14

HTML

683 KB PDF


May


June

9



July

28



August


September

8



October

20



November


December

1



2010 | 2009 | 2008 | 2007 | 2006 | 2005 | 2004 | 2003 | 2002 | 2001 | 2000 | 1999 | 1998 | 1997 | 1996

1970 - present (on the web site of the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맞춤검색

,

다우지수(DJIA, 다우존스 지수)가 연간으로 상방, 하방으로 얼마만큼의 변동성을 가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미국 다우존스 지수가 1983년부터 2010년까지 움직인 연간 변동성을 보여주는 테이블(표) 입니다.
2010년 2월 8일(미국 현지) 종가 기준입니다.

여기서 '시가'는 그 해 최초로 장이 개시되면서 형성된 '시작가',
'고가'는 일 년중 가장 지수가 높았던 시점의 '최고가',
'저가'는 일 년중 가장 지수가 낮았던 시점의 '최저가',
'종가'는 그 해 마지막으로 장을 마감하면서 형성되는 '마감가'를 의미합니다.

이 <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저번에 적은 "코스피(KOSPI) 지수의 연간 변동성 평균"에 자세히 나와있으며, 이 표를 보는 방법도 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결론만을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다우존스 산업지수(DJIA, 다우지수)의 연중 변동성 평균, 1983~2010]

다우존스 DJIA       밑꼬리 시가기준 윗꼬리 시가기준 최저기준
년도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시가-저가(p) 하방변동(%) 고가-시가(p) 상방변동(%) 상방변동(%)
2010년 10430.69 10729.89 9835.09 9908.39 595.60 5.71 299.20 2.87 8.34
2009년 8772.25 10580.33 6469.95 10428.05 2302.30 26.25 1808.08 20.61 38.85
2008년 13261.82 13279.54 7449.38 8776.39 5812.44 43.83 17.72 0.13 43.90
2007년 12459.54 14198.1 11939.61 13264.82 519.93 4.17 1738.56 13.95 15.91
2006년 10718.3 12529.88 10661.15 12463.15 57.15 0.53 1811.58 16.90 14.91
2005년 10783.75 10984.46 10000.46 10717.5 783.29 7.26 200.71 1.86 8.96
2004년 10452.74 10868.07 9660.18 10783.01 792.56 7.58 415.33 3.97 11.11
2003년 8342.38 10494.44 7397.31 10453.92 945.07 11.33 2152.06 25.80 29.51
2002년 10021.71 10728.87 7181.47 8341.63 2840.24 28.34 707.16 7.06 33.06
2001년 10790.92 11436.42 7926.93 10021.57 2863.99 26.54 645.50 5.98 30.69
2000년 11501.8 11750.3 9571.4 10787.99 1930.40 16.78 248.50 2.16 18.54
1999년 9212.84 11658.68 8994.26 11497.12 218.58 2.37 2445.84 26.55 22.85
1998년 7908.25 9457.95 7379.7 9181.43 528.55 6.68 1549.70 19.60 21.97
1997년 6448.27 8340.14 6315.84 7908.25 132.43 2.05 1891.87 29.34 24.27
1996년 5117.12 6623.96 5000.07 6448.27 117.05 2.29 1506.84 29.45 24.52
1995년 3834.44 5266.69 3794.4 5117.12 40.04 1.04 1432.25 37.35 27.95
1994년 3754.09 4002.84 3520.8 3834.44 233.29 6.21 248.75 6.63 12.04
1993년 3301.11 3818.92 3219.25 3754.09 81.86 2.48 517.81 15.69 15.70
1992년 3168.83 3435.27 3087.41 3301.11 81.42 2.57 266.44 8.41 10.13
1991년 2633.66 3204.61 2447.03 3168.83 186.63 7.09 570.95 21.68 23.64
1990년 2753.2 3024.26 2344.31 2633.66 408.89 14.85 271.06 9.85 22.48
1989년 2168.4 2809.1 2127.1 2753.2 41.30 1.90 640.70 29.55 24.28
1988년 1950.8 2195.1 1846 2168.6 104.80 5.37 244.30 12.52 15.90
1987년 1897.4 2746.7 1616.2 1938.8 281.20 14.82 849.30 44.76 41.16
1986년 1546.7 1971.7 1491.7 1896 55.00 3.56 425.00 27.48 24.34
1985년 1211.6 1570.9 1178.7 1546.7 32.90 2.72 359.30 29.66 24.97
1984년 1258.6 1295.4 1079 1211.6 179.60 14.27 36.80 2.92 16.71
1983년 1046.5 1297 1013.4 1258.6 33.10 3.16 250.50 23.94 21.87
91~'09평균 10.81 15.43 22.55
01~'09평균 17.31 10.71 25.21
% % %
여기서 중요한 기준은 '시가', 그 해의 '시작가'입니다.

'시가'를 기준으로 다우존스 지수는 연중으로 상방, 하방으로 얼마만큼의 변동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991년부터~2009년까지, 다우존스 지수는 연초의 '시작가'를 기준으로, 평균을 내면,
하방으로 10.81%, 상방으로 15.43%, 연중 최저가로부터 22.55%의 변동성을 가졌습니다.

예컨대, 시작가가 10,000p 였다면, 최저가는 8,919p, 최고가는 11,543p 였다는 것이 됩니다.(평균)


다음으로, 2001년부터~2009년까지 평균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때 다우지수의 변동성 평균을 내면,
시가 기준, 하방으로 17.31%, 상방으로 10.71%, 최저가로부터 25.21%의 변동성을 가졌습니다.

예컨대, 시작가가 10,000p 였다면, 최저가는 8,269p, 최고가는 11,071p 였다는 것이 됩니다.(평균)

다우지수 연봉(year bar)


이처럼, 다우지수는 적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코스피(KOSPI)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유는 '선진 시장'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 시장'은 '신흥 시장'이나 '준 선진국 시장'에 비해 낮은 변동성을 지닙니다.

그렇다면, 2010년 현재 다우존스 지수는 연중으로 얼마만큼 움직이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2월 8일 종가 기준)
2010년의 시가, 10,430p를 기준으로, 하방 5.71%, 상방 2.87% 로 움직인 것에 불과합니다.

즉, 2010년의 다우존스는 현재 움직인 것이 거의 없습니다. 즉 앞으로 연중으로 갈 길이 멀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희일비'하기에는 너무나 '일상적인' 변동성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입니다.

2001년부터~2009년까지의 변동성 평균을 2010년에 대입해 보겠습니다.
(상방 10.71%, 하방 17.31%, 최저가 기준 최고가 상승률 25.21%)

1) 고가 : 10,430p X 110.71% = 11,547p
2) 저가 : 10,430p X (1-0.1731)% = 8,625p

가 나옵니다.

즉, 지난 10년간의 변동성의 범위로 보면, 8,625p ~ 11,547p 구간을 올 해 다우존스 변동성의 통상적인 범위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래 '08, '09년도가 약세이어서, 하락 변동 평균 대입 추정치가 많이 떨어지네요.)

2월 8일 종가가 9,908p 이므로, 현재 다우존스는 연중으로 통상적인 변동성 범위에 머무르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시장'이나 '국가'가 망할 것처럼 '시류'를 따라 굳이 '부하뇌동'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변동성은 주식시장에서 아주 일상적인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관련글]
코스피 지수의 연간 변동성 _1981~2010


맞춤검색

,

코스피(KOSPI), 다우존스(DOWJONES, DJIA, 다우지수) 등 국내외 주가 지수가 하락하고 있어서, 여기 저기 근심 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이미 1월초에 1분기에는 '주가 하락'의 가능성이 높으니, 3~4월경에 주식 시장 진입 여부를 결정하고 대응해도 무난하고, 충분한 기대 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이미 공개해 드린 바 있습니다. [관련글, 주식투자, 몇 월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그렇다면, 주가 지수는 왜 하락하는 것일까?

'미국'이 어떻고, '유럽'이 어떻고, '경기'가 어떻고, 여기 저기서 많이 논의하는 것 같으나, 대부분 불필요한 것들입니다. 

이러한 주가 지수 하락, 변동성은 '일상 다반사'로 매우 빈번한 '통과 의례'이기 때문입니다. 즉, 주식시장에서 아주 '일상적'인 '정상적'인 움직입니다. 

왜 그런가 생각해 보겠습니다.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주식시장의 정상적인 변동성'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치 '아메바'와 같이 생물처럼 움직이며 생명력을 발휘하는 '주식시장'의 '지수 변동성'은, 그 자체가 주식시장이 살아있음을 입증하고, 자신을 더욱 살찌우는 토양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주식시장의 주가지수(KOSPI, 종합주가 지수)의 변동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국내 코스피 지수가 1983년부터 2010년까지 연중으로 어떻게 움직였는가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시가'(시작가)입니다.
1월 2일에 '장'이 열리면, 주식시장 개시와 동시에 형성되는 주가지수를 '시가'라고 합니다.


코스피(KOSPI) 주가지수는 연중으로 항상 움직이므로, 연중에 가장 높은 주가지수를 형성하는 '고가', 연중에 가장 낮은 주가지수를 형성하는 '저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12월말에 장을 마감하면 연중 '종가'(마감가)를 형성하게 됩니다.

주식시장에 임할 때는 주가지수에 투자하든, 개별 종목에 투자하든 항상 '시가'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왜냐하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KOSPI 종합 주가지수의 연간 변동성, 1983~2010년]

KOSPI         밑꼬리 시가기준 윗꼬리 시가기준 최저가기준
년도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시가-저가(p) 하방변동(%) 고가-시가(p) 상방변동(%) 상방변동(%)
2010년 1681.71 1723.22 1560.99 1567.12 120.72 7.18 41.51 2.47 10.39
2009년 1132.87 1723.17 992.69 1682.77 140.18 12.37 590.30 52.11 73.59
2008년 1891.45 1901.13 892.16 1124.47 999.29 52.83 9.68 0.51 113.09
2007년 1438.89 2085.45 1345.08 1897.13 93.81 6.52 646.56 44.93 55.04
2006년 1383.32 1464.7 1192.09 1434.46 191.23 13.82 81.38 5.88 22.87
2005년 896 1383.14 866.17 1379.37 29.83 3.33 487.14 54.37 59.68
2004년 816.26 939.52 713.99 895.92 102.27 12.53 123.26 15.10 31.59
2003년 633.03 824.26 512.3 810.71 120.73 19.07 191.23 30.21 60.89
2002년 698 943.54 576.49 627.55 121.51 17.41 245.54 35.18 63.67
2001년 503.31 715.93 463.54 693.7 39.77 7.90 212.62 42.24 54.45
2000년 1028.33 1066.18 483.58 504.62 544.75 52.97 37.85 3.68 120.48
1999년 575.41 1052.6 489.75 1028.07 85.66 14.89 477.19 82.93 114.93
1998년 374.41 599.32 277.37 562.46 97.04 25.92 224.91 60.07 116.07
1997년 651.22 799.54 338.94 376.31 312.28 47.95 148.32 22.78 135.89
1996년 882.3 991.22 643.57 651.22 238.73 27.06 108.92 12.35 54.02
1995년 1027.45 1030.65 839.81 882.94 187.64 18.26 3.20 0.31 22.72
1994년 865.93 1145.66 853.47 1027.37 12.46 1.44 279.73 32.30 34.24
1993년 685.51 880.35 602.3 866.18 83.21 12.14 194.84 28.42 46.16
1992년 617.14 704.94 456.59 678.44 160.55 26.02 87.80 14.23 54.39
1991년 678.83 772.96 579.11 610.92 99.72 14.69 94.13 13.87 33.47
1990년 903.07 936.03 559.98 696.11 343.09 37.99 32.96 3.65 67.15
1989년 896.25 1015.75 842.95 909.72 53.3 5.95 119.50 13.33 20.50
1988년 525.11 930.1 524.91 907.2 0.2 0.04 404.99 77.12 77.19
1987년 264.82 525.11 264.82 525.11 0 0.00 260.29 98.29 98.29
1986년 161.4 279.67 153.85 272.61 7.55 4.68 118.27 73.28 81.78
1985년 139.53 163.37 131.4 163.37 8.13 5.83 23.84 17.09 24.33
1984년 116.73 142.46 114.37 142.46 2.36 2.02 25.73 22.04 24.56
1983년 122.52 134.46 115.59 121.21 6.93 5.66 11.94 9.75 16.32
91~'09평균 20.37 29.02 66.70
01~'09평균 16.20 31.17 59.43
% % %

위의 표를 통해 이제 주가지수가 연중으로 얼마만큼의 변동성을 가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2007년을 들어보겠습니다.

2007년 시가 1,438p, 고가 2,085p, 저가 1,345p, 종가 1,897p 입니다.

이제 시가를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가'와 '고가'의 차이는 2,085p - 1,438p = 646p, '시가' 기준 고가 변동성(상방 변동성) 44.93%
'시가'와 '저가'의 차이는 1,438p - 1,345p = 93p, '시가' 기준 저가 변동성(하방 변동성)  6.5% 입니다.
그렇다면 연중으로 '최저가'와 '최고가'의 차이는 얼마나 나는지 보겠습니다.
2,085p - 1,345p = 740p, '저가' 기준 '고가'변동성 55.04% 입니다.


그렇다면, 1991년부터 2009년까지, 2001년부터 2009년까지,
1) 연중 '시가'로부터 연중 '최저가'까지는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 
2) 연중 '시가'로부터 연중 '최고가'까지는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
3) 연중 '최저가'로부터 연중 '최고가'까지는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 
그 평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위의 [표]에 이미 나와 있습니다.

1991년부터 2009년까지
1) 시가기준, 하방변동성 평균 20.37%
2) 시가기준, 상방변동성 평균 29.70%
3) 최저가기준, 상방변동성 평균 66.70% 입니다. 

즉, 연중으로 시초가가 1,000p였다면, 연중최저가는 약 800p, 연중 최고가는 1,300p 정도로 평균적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입니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더욱 최근의 데이터만을 보면
1) 시가기준, 하방변동성 평균 16.20%
2) 시가기준, 상방변동성 평균 31.17%
3) 최저가기준, 상방변동성 평균 59.43% 입니다. 

즉, 연중으로 시초가가 1,000p였다면, 연중최저가는 약 840p, 연중 최고가는 1,310p 정도로 평균적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제, 2010년 현재, 2월 5일 종가까지의 KOSPI(코스피) 종합주가지수의 변동성을 보겠습니다.
시가는 1,681p이고, 저가는 1,560p, 고가는 1,723p, 2월 5일 마감종가는 1,567p 입니다.
1) 시가기준, 하방변동 7.18%
2) 시가기준, 상방변동 2.47%
3) 최저가기준, 상방변동 10.39% 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엄청나게 안 움직인거죠? 떨어진 것도 아닌거 오른 것도 아니니, 엄청난 변동성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2010년의 '시가' 1,681p를 기준으로, 2001~2009년의 변동성에 이 수치를 대입해 보겠습니다.

1) 하방변동성 평균 16.20% : 1,681p X (1-0.1620) = 1,408p
2) 상방변동성 평균 31.17% : 1,681p X 131.17% = 2,204p
가 나옵니다.

즉, 2001년~2009년 주가지수가 움직인 평균 변동치에 대입해 보면,
2010년 올 해 주식시장의 저가는 1,408p, 고가는 2,200p 부근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연초에 예고되어 있는 것이에요.
물론, 반드시 이렇게 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식시장은 항상 통상적으로 위와 같이 위, 아래로 상방, 하방 몇 십%의 변동성을 늘상 가진다는 것입니다.(상방변동성, 하방변동성) 

2월 5일 현재, KOSPI 지수가 1,567p로 마감했지만, 변동성은 기껏해야, 위로 2.47%, 아래로 7.18%에 불과합니다.
즉,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것이고, 움직인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큰 충격을 받았다고 보기도 힘들다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아주 일상적이다.', '아주 당연하다.', '아주 흔한 일이다.', '아무 문제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상적인 변동치에도 불구하고, 마치 '주식시장'이나 '전세계' '국가'들이 망한 듯 참 '아니올씨다'인 글들이 종종 올라오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아니올씨다'라는 겁니다. '혹세무민'하면 안된다는 것이에요...

'시장'을 봐라볼때는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기준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결론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득력있는 종합적인 견해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A)

그런데, '소설' 쓰시는 분들이 있어요... '소설', '창작'은 '공상'의 세계에서 하셔야지요... '저작권' 찾지말고, '소설' 딱지 붙여서 출간하세요. 물론 '재미'는 있죠. 하지만, 이것 저것 여기저기서 떼어오고, 캡쳐 몇 개 붙여 올린다고, '있는 글', '설득력 있는 글', '분석력 있는 글'이 반드시 되는 게 아니라는 말씀이에요.

제 글들이 수 년이 지나도 줄곧 합리적인 전망과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면, 감히 '시장이 똑똑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지요. 필자는 (A)와 같은 기준으로 '시장'을 보기 때문입니다. 다른 분들이 그렇게 봐도, 동일한 '합일점'이나 '설득력 있는 결론'에 물론 도달할 수 있습니다. 잘난체 하는게 아니고, 로직(Logic)에 따라가야 하므로, 당연히 '순리'가 그렇게 진행된다는 것이에요.



[관련글]
주식 투자, 몇 월에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맞춤검색

,

경기가 본질적인 개선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고, 미국의 경우 경기침체 종료 선언이 임박했다고 보이기 때문에, 주말에 4차 포트폴리오를 제시하려고 합니다.

이미 경제란이든 주식란이든 각종 게시판을 통하여, 그동안 줄곧 대중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공개해왔습니다.

여기에 이렇게 글을 써 온 이유는, 미네르바 같은 엄한 사람이 엄한 내용으로 혹세무민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합리적으로 제반 상황이나, 내용을 충분히 검토하지도 않고, 잘못된 결론을 도출해도 문제인데, 거기다가 거짓말을 하면서도 아무런 꺼리낌도 느끼지 못한다면 뭐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그의 '말'이나 '의도'가 완전히 '거짓'은 아니었으나, 시기가 적절하지 못했고 뒷북에 가까웠으며, 무엇보다 '거짓'으로 말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물론 누구도 완벽할 수 없고, 저도 완벽하지는 않으나, 남들보다 잘 보이는 것이나(남들도 잘 보겠지만), 먼저 보이는 것을 바탕으로 할 때, 주도적 담론이 혹세무민으로 밝혀지면, 알려드려야할 의무가 있겠죠?

그런 의미에서 2008년 연말부터 (물론 그 이전에 2007년초부터 공개적으로 포트폴리오나 지수에 대해 계속 말씀드려왔었습니다.) 이 게시판에다 지수나 경기상황, 투자 요점이나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해 그 내용을 올려왔습니다.

이런 포트폴리오는 4차례 제시되었는데, 이중 2008년  11월 26일 포트폴리오부터 모든 내용이 여기 게시판에서 공개되었습니다.

포트폴리오 내역과 그 성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2008.10.27 1차 포트폴리오 제시,
2008.11.26 2차 포트폴리오 제시,
2008.12.08 오바마 포트폴리오 제시,
2009.01.13 3차 포트폴리오 제시










물론 이를 바탕으로 투자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고, 투자를 안하시는 분들은 안해도 상관없는 겁니다. 다만 혹세무민하고 엄한 내용들이 주도적 담론을 형성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 깊게 얘기하지는 않겠습니다.)




코스피(KOSPI) 지수의 흐름을 보면, 전체 지수 흐름을 봤을 때, 4월 중순에 일부 청산, 차익 실현하고 경계가 필요했고 (일부 이렇게 실행), 7월말에 지수가 기술적 저항을 극복하면서 갭상승할 때 재매수 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코멘트 안드림)

위의 포트폴리오들은 중장기 포트폴리오들로 이미 목표 달성상태입니다. 같은 종목을 다시 재매수하더라도, 이익실현하고 전체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해도 상관없는 자리입니다.

여하튼, 현재 증시가 지수영향력이 큰 일부 종목군으로 역사적 신고가를 상당기간 시현할 움직임이 있고,

미국 경기의 경기 침체선언의 초기 국면에 진입했다고 보이기 때문에, 지수가 의외로 강세로 계속 흐를 가능성도 높습니다. 왜냐하면, 미국 증시, 다우존스(다우지수, DJIA)는 아직 경기개선 반영이 크게 나타나지도 않았기 때문에, 경기확장이 가시화된다면 상승 여력은 다분히 높습니다.



실제로, 최근 미국의 주요 경기지표를 보면 확연하게 의미있는 추세전환의 신호를 보이고 있다고 살펴본 바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에 따라 미국 증시의 회복 추세는 조만간 더욱 큰 가속도가 붙을 수 있습니다. 위의 차트를 보면 다우존스는 연봉으로 이제 막 연 시초가 9,000p 수준을 탈출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일부에서, 뉴욕대학교 루비니(Nouriel Roubini),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인 프린스턴대 폴 크루그먼(Paul Robin Krugman), 콜럼비아대 요셉 스티글리츠(Joseph E. Stiglitz) 등의 부정적 견해와 전망을 인용하나, 이들은 경제학자들이지 주식매매자나 트레이더(Trader)들이 아닙니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제도나 거시경제를 보는 것이며, 현실 구조적인 문제들을 항상 지적하는 것입니다. 즉, 시장 전망에 대한 그들의 견해가 반드시 적시에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한편 자본주의와 그 구조는 언제나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는 것은 학자들로서 매우 당연한 역할이고 활동입니다. 그렇다고 자본주의나 시장경제, 금융시스템이 망했습니까? 항상 공중에 붕 떠있는게 '시장경제'거든요. 관리해 가는 겁니다. 관리안하면 벌써 망했죠. 지금도 세계 금융체제 공조를 해서 관리해 가지 않습니까. 

2분기초에 전망드린 바, 3분기에나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제시할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당시에 지수 1,700p가 가는 한이 있더라도, 차후 포트폴리오는 3분기 쯤에나 생각해 보자고 말씀드렸는데, 실제로 지수가 1,700p가 왔습니다.

이런 포트폴리오는 내년 중순쯤에 구성하여 진입해도 무난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시세가 나타나지 않은 종목군에서는 지수와 상관없이 구성하여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 보입니다. 왜냐하면 '주가'는 '선도성'이 있어서 업황이나 경기가 개선되기 이전에 먼저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포트폴리오는 주말 경에 주요 종목과 간단한 이유와 함께 제시하려고 합니다.

외람되나, 이 게시판에서 필자를 언급할 때, 스스로 '대한민국 증권 최고수'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외람되나 실제로 가치투자, 모멘텀투자를 아우르는 측면에서는 '워런 버핏'에 많이 뒤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기존에 참고하신 분들도 주식 보유, 경기 전망 측면에서 많이 도움이 되셨을 것으로 믿습니다. 참고로 이렇게 게시판들을 활용하는 것은 제가 달리 하려는 일이 있기 때문이에요. 이 일을 전업이나 본업으로 해도 되지만, 더 의미있는 일들을 하려고 합입니다. (물론 기회가 되면, 이 일들도 본격적으로 할 수도 있겠지만, 확신할 수는 없네요.)

아마 이 포트폴리오가 올해의 마지막 선물이 될 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는 조용히 지낼거 같네요.




맞춤검색

,

미국 경기침체가 사실상 종결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반기부터 점진적인 회복 국면이 더욱 뚜렷해 질 것으로 전망해 봅니다.
9월 15일(현지) 발표된 주요 미국 경기지표를 살펴보면, 이를 뚜렷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만간 전미경제조사국(NB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도 2007년 12월 이후 계속되고 있는 경기침체 국면의 공식적인 종결을 선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지 발표된 주요 경기지표로는 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Retail Sales 소매 판매, Business Inventories 기업재고 3항목입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제조업과 산업생산의 경기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선행지표이고, (생산)
소매판매는 소비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소비)
기업재고는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거나 잘 조절하여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생산-소비 연동성)


먼저,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를 보면,
7월부터 지수(index)가 양전환(+)한 이후로, 상승세가 더욱 뚜렷해지는 모습입니다. 제조업 실물경기가 회복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반증합니다.



다음으로, 소매판매 지표를 보면, 연초부터 플러스, 마이너스 혼조국면을 보였으나, 9월 지표에서는 확연하게 개선세가 나타난 모습입니다. 개별 경제주체들의 소비 동향도 개선되고 있는 것입니다.


기업재고를 보면, 여전히 침체상태이나 전월대비 감소폭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기업재고 항목은 여러 면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업재고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물류창고로 유입되어 재고로 쌓이는 물량보다 창고에서 나가는 물량이 더 많다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기업이 생산량을 줄였는데, 기존에 이미 생산해 놓은 물량으로 상품을 밀어내고 있으면 기업재고가 줄어들게 됩니다. 
2) 기업이 생산량을 줄이고 있으면, 기업재고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 두 경우는 경기가 침체하여, 생산이 많이 일어나지 않고, 수요가 있으면 기존 물량으로 떼우는 경우입니다. 

3) 기업이 생산량도 늘리는데, 수요가 많아서 재고를 쌓을 여유가 없으면, 기업재고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 경우는 경기가 호전되고 있는 것입니다. 소비요구량이 많아서 재고가 안쌓이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기호전의 신호로 재고량이 줄어들게 되는 징후가 나타나면 기업은 어떻게 반응할까요?

향후 매출을 늘리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게 됩니다. 따라서, 기업재고 지표의 침체 이후에 양전환 국면으로 전환되는 것은 유력한 경기호전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위의 Business Inventories 지표를 보면, 1~2분기 이후에 뚜렷한 양전환의 가능성이 보이고 있습니다. 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Retail Sales 지표, 즉 생산과 소비의 대표 지표가 모두 뚜렷하게 양전환(+) 했기 때문에, 미국 경기는 향후 기업재고의 양전환을 동반하여 일상적 수준으로 복귀, 회복 국면에 이미 들어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 연봉_ 2009년

다우존스 지수 일봉 _2009.09


한편, 다우존스지수(다우지수, DJIA)의 흐름을 보면, 9,000p 선을 이미 돌파해서 아랫꼬리를 길게달고 연봉( year bar)은 양봉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9년 하반기에 양봉추세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하반기에도 양봉을 강화하며, 10,500p 선까지는 무난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우존스지수 일봉을 보면, 2009년 2월~3월초에 걸쳐 7,700p가 재차 무너지면서, 필자의 경우에도 심리적으로 많이 흔들렸으나, 결국 개미핥기 패턴으로 나타나 V자로 강하게 상승하며 3월말부터 회복 기조로 들어선 모습입니다. 그 속도가 매우 더디기는 하나, 미국 경기회복의 본격적 반영이 미국 본토 시장에서는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 시장은 여전히 최유력 투자 유망 시장이 됩니다. 

2008년 11월, 12월, 2009년 연초에 걸쳐서, 만일 원-달러 환율만 안정된다면, 가장 유망한 최유력 시장은 미국시장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미국시장에 비해 국내시장, 코스피는 1,700p에 육박할만큼 회복기조를 보이며 이미 많이 올라있어서 지수 자체로는 최상의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주에서는 신고가 종목들도 쏟아지고 있습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1,100원대로 진입도 전망되는데, 이 환율에서 미국시장 투자 진출은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미국시장의 상승여력이 크기 때문입니다. 

안정화된 원-달러 환율


따라서, 미국 현지인들과 미국동포 여러분들께서는, 미국 본토에서 현지 기업들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기울여야할 시점입니다. 물론 내국인들도 해외 투자할 수 있습니다. 

2008년 11월, 12월, 2009년 연초에 걸쳐서 미국 현지에 계신분들께, 미국에서는 당시부터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GS), 구글(Google, Goog), 리오틴토(Rio Tinto)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하며, GM에 곁눈질 하기보다는 국내기업 현대차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생존 대표 금융투자 회사의 주가 저평가 모멘텀, IT경기 선회복에 따른 선도기업 투자, 경기회복시 광물주의 주가 모멘텀, 미국 자동차업종의 쇄퇴이후 새로운 마켓플레이어의 대체 등장)

아래는 그 이후로, 해당 기업들의 주가움직입니다. 엄청나게 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확하게 저점 수준에서 말씀드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주가

구글의 주가

현대차의 주가



2008년 연말, 2009년 연초는 침체 국면의 최극단이었기 때문에, 적극적 발담그기를 권장했지만, 투자의 대상은 선별적이었습니다. 
그러나 경기회복이 가시화되면, 주식시장에서도 투자의 대상과 외연이 확장되게 되고 선택의 폭이 넓어집니다.

또한 기존에 많이 오른 업종 종목군이 있다면 포트폴리오 교체의 필요성도 높아지게 됩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새 글로 언급하고자 합니다. 즉 보다 여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현지인들께서는 현지 시장에 대한 투자 스탠스를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글]
미국 베이지북 Beige Book 9월호 _FRB 미국 경제상황 보고
미국 경제성장률, GDP 변화율 추이 _1995년~2009년 2분기


맞춤검색

,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Unemployment Claims) 가 의미있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7월 16일(현지) 발표된 주간 실업청구건수 내용을 보면, 550K(천명)을 예상했으나 실제로는 522K(천명)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단위, 천명) (forexfactory.com)


주간 실업청구건수는 '실업자'들이 미국 정부에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주간(Weekly) 건수를 말합니다.

'Unemployment Claims'(실업청구건수) 추이를 보면, 2008년 초부터 연중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해서, 
2009년 상반기에 고점권 정점을 찍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업청구건수(Jobless Claims, Initial Claims)는
주간 55만~65만명 선에서 고점권을 형성한 후, 6월 경부터 한 단계 랩다운(level down)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매주 집계되서 발표되며, 집계 딜레이(delay)는 약 5일이라고 합니다.

물론,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줄어들고 있다고 해서, 실업률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실업률 증가의 가속도가 줄어들지 않을까 정도로는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다.

위처럼, 그래프 추세가 의미있게 한 단계 내려왔기 때문에, 변화된 지표의 의미는 충분히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증시는 선행 성격이 있기 때문에, 지표의 가속도(방향성)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 _09.07.16 (현지)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도 일간 조금 더 오른 모습입니다.


이하, 미국 노동부의 발표자료입니다. (출처 : 미국 노동부, U.S. Department of Labor)


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USDL 09-817-NAT

 

 

 

 

Program Contact:

TRANSMISSION OF MATERIAL IN THIS

Scott Gibbons (202) 693-3008

RELEASE IS EMBARGOED UNTIL

Tony Sznoluch (202) 693-3176

8:30 A.M. (EDT), THURSDAY

Media Contact :

July 16, 2009

(202) 693-4676

 

 

 

UNEMPLOYMENT INSURANCE WEEKLY CLAIMS REPORT

          SEASONALLY ADJUSTED DATA

In the week ending July 11, the advance figure for seasonally adjusted initial claims was 522,000, a decrease of 47,000 from the previous week's revised figure of 569,000. The 4-week moving average was 584,500, a decrease of 22,500 from the previous week's revised average of 607,000.

The advance seasonally adjusted insured unemployment rate was 4.7 percent for the week ending July 4, a decrease of 0.5 percentage point from the prior week's revised rate of 5.2 percent.

The advance number for seasonally adjusted insured unemployment during the week ending July 4 was 6,273,000, a decrease of 642,000 from the preceding week's revised level of 6,915,000. The 4-week moving average was 6,666,750, a decrease of 110,250 from the preceding week's revised average of 6,777,000.  

The fiscal year-to-date average for seasonally adjusted insured unemployment for all programs is 5.449 million.

UNADJUSTED DATA

The advance number of actual initial claims under state programs, unadjusted, totaled 667,534 in the week ending July 11, an increase of 86,389 from the previous week. There were 483,981 initial claims in the comparable week in 2008.

The advance unadjusted insured unemployment rate was 4.6 percent during the week ending July 4, an increase of 0.1 percentage point from the prior week. The advance unadjusted number for persons claiming UI benefits in state programs totaled 6,135,066, an increase of 63,714 from the preceding week. A year earlier, the rate was 2.3 percent and the volume was 3,118,724.

Extended benefits were available in Alaska, Arizona, Arkansas, California, Colorado, Connecticut, the District of Columbia, Florida, Georgia, Idaho, Illinois, Indiana, Kentucky, Maine, Massachusetts, Michigan, Minnesota, Missouri, Montana, Nevada, New Jersey, New York, North Carolina, Ohio, Oregon, Pennsylvania, Puerto Rico, Rhode Island, South Carolina, Tennessee, Vermont, Virginia, Washington, and Wisconsin during the week ending June 27.

Initial claims for UI benefits by former Federal civilian employees totaled 1,642 in the week ending July 4, an increase of 14 from the prior week. There were 1,870 initial claims by newly discharged veterans, a decrease of 192 from the preceding week.

There were 17,471 former Federal civilian employees claiming UI benefits for the week ending June 27, an increase of 17 from the previous week. Newly discharged veterans claiming benefits totaled 28,772, an increase of 242 from the prior week.

States reported 2,525,342 persons claiming EUC (Emergency Unemployment Compensation) benefits for the week ending June 27, an increase of 6,241 from the prior week. EUC weekly claims include both first and second tier activity.

The highest insured unemployment rates in the week ending June 27 were in Michigan (7.2 percent), Puerto Rico (6.9), Oregon (6.5), Pennsylvania (6.3), Nevada (6.1), Wisconsin (5.8), California (5.4), South Carolina (5.4), Connecticut (5.2), Illinois (5.2), New Jersey (5.2), and North Carolina (5.2).

The largest increases in initial claims for the week ending July 4 were in Michigan (+12,144), New York (+8,913), Wisconsin (+5,838), Indiana (+5,430), and Ohio (+4,240), while the largest decreases were in New Jersey (-5,030), California (-4,293), North Carolina (-3,983), Kansas (-3,544), and Oregon
(-1,454).


UNEMPLOYMENT INSURANCE DATA FOR REGULAR STATE PROGRAMS


 

Advance

 

 

 

Prior1

WEEK ENDING

July 11

July 4

Change

June 27

Year


Initial Claims (SA)

522,000

569,000

-47,000

617,000

387,000

Initial Claims (NSA)

667,534

581,145

+86,389

559,857

483,981

4-Wk Moving Average (SA)

584,500

607,000

-22,500

616,000

387,750

 

Advance

 

 

 

Prior1

WEEK ENDING

July 4

June 27

Change

June 20

Year


Ins. Unemployment (SA)

6,273,000

6,915,000

-642,000

6,724,000

3,169,000

Ins. Unemployment (NSA)

6,135,066

6,071,352

+63,714

6,078,496

3,118,724

4-Wk Moving Average (SA)

6,666,750

6,777,000

-110,250

6,757,000

3,172,000


Ins. Unemployment Rate (SA)2

4.7%

5.2%

-0.5

5.0%

2.4%

Ins. Unemployment Rate (NSA)2

4.6%

4.5%

+0.1

4.5%

2.3%


INITIAL CLAIMS FILED IN FEDERAL PROGRAMS (UNADJUSTED)


 

 

 

 

Prior1

WEEK ENDING

July 4

June 27

Change

Year


Federal Employees

1,642

1,628

+14

1,402

Newly Discharged Veterans

1,870

2,062

-192

1,378


PERSONS CLAIMING UI BENEFITS IN FEDERAL PROGRAMS (UNADJUSTED)


 

 

 

 

Prior1

WEEK ENDING

June 27

June 20

Change

Year


Federal Employees

17,471

17,454

+17

11,468

Newly Discharged Veterans

28,772

28,530

+242

18,903

Railroad Retirement Board

10,000

10,000

0

2,000

Extended Benefits

285,874

346,559

-60,685

1,726

EUC 20083

2,525,342

2,519,101

+6,241

0


FOOTNOTES
SA - Seasonally Adjusted Data
NSA - Not Seasonally Adjusted Data
1 - Prior year is comparable to most recent data.
2 - Most recent week used covered employment of 133,078,480 as denominator.
3 - EUC weekly claims include both first and second tier activity.


[관련글]
실업률 관련글 보기

맞춤검색

,

미국 산업생산, Industrial Production 7월 지표가 월간 -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월 수치는 -1.2%였고, 당월 예상치는 -0.6%였습니다.

이러한 산업생산 지표는 여전히 하락세이나 하락 추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예상치보다 다소 양호한 수치입니다.

산업생산 지표는 경기순환(Business Cycle)의 위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기선행지표의 하나로,
고용이나 임금과 같은 소비자 지표와 많은 상관 관계를 지닙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나타나고 있는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지표를 보면, 최근에도 여전히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락세는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속도는 더딜지라도 일정 시점에 방향이 미약하게나마 전환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되네요.





소비재부분에서 내구재(Durable) 부분을 보면, 2009년 연중 다시 하강하고 있지만, 아랫 깊이가 깊기 때문에 하락세가 둔화되고 돌려세울 가능성은 있습니다.
장비재(Equipment)부분을 보면 '방위,항공,우주' 부분에서는 방향이 바뀐 모습입니다.



기타 부분에서도 하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다만 모든 부분에서 "바닥이 깊기 때문에" 깊은 바닥을 확인하고 하락 추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전년 동기 대비해서도 산업생산 지표의 변화율(%)이 깊기 때문에,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기적으로, 기술적으로 2009년 하반기는 경기의 1차 반등의 시도가 "기술적"(technical)으로 일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관찰의 관점은, "일어난다는 것"이 아니라, 그 정도와 추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1차 기술적 반등이 시원치 않을 경우, 기대는 2010년 내년으로 다시 미뤄질 수도 있습니다.


이하, Federal Reserve가 발표한 2009년 7월 미국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발표 내용입니다.

INDUSTRIAL PRODUCTION AND CAPACITY UTILIZATION
Industrial production decreased 0.4 percent in June after having fallen 1.2 percent in May. For the second quarter as a whole, output fell at an annual rate of 11.6 percent, a more moderate contraction than in the first quarter, when output fell 19.1 percent. Manufacturing output moved down 0.6 percent in June, with declines at both durable and nondurable goods producers. Outside of manufacturing, the output of mines fell 0.5 percent in June, and the output of utilities increased 0.8 percent. The rate of capacity utilization for total industry declined in June to 68.0 percent, a level 12.9 percentage points below its average for 1972-2008. Prior to the current recession, the low over the history of this series, which begins in 1967, was 70.9 percent in December 1982.

(출처 : Ferderal Reserve Statistical)


[관련글]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_2009.07.15
미국 산업생산 6월 지표 _2009.06.16


맞춤검색

,

미국 다우존스지수(DJIA, 다우지수)가 8,616p로 +256p, 3.07% 상승하였습니다.

원인은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가 예상보다 큰 폭으로 호조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_09.07.15, 양(+)전환 임박?


뉴욕연방은행(Federal Bank Of New York)이 7월 15일 현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이하, '엠파이어 지수')는 -0.55를 기록하며, 수치가 양(+)전환에 임박한 징후를 보이고 있습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지수, 예상치와 실제 수치 _09.07.15 (현지)


7월 엠파이어 지수 전망치는 -5.3 이었으나, 실제로는 -0.55가 나온 것입니다.
2007년부터 2009년 상반기까지 약 2년 동안 최근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동향을 보면, 양전환한 경우가 드물었고, 2008년 중반 금융위기의 클라이막스를 계기로 1년 가까이 마이너스(-) 추세로 바닥을 기어왔음을 볼 수 있습니다. 

엠파이어 지수는 6월달에 재차 하락하며, 다우존스 지수에 충격을 주기도 했으나, 
7월 15일 발표 지표에서는 회복 추세가 유지되며, 양전환이 임박해 보이는 모습입니다.



차트에서 보듯이, 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 는 깊은 골을 뒤로 하고, 영(0)선 윗선으로 전환을 시도하려는 모습입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소비, 고용, 투자 등 미래 경제활동의 전망을 위한 선행 경기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Index)는 New York주 지역의
약 200개 제조업체에 대한 체감경기에 대한 조사치를 합산하여 발표됩니다.

엠파이어 지수는 월간으로 발표되는데, 저번달 6월 지수의 경우 지표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다우지수 기준 -187p, 2.13%의 하락을 이끌며 시장에 충격을 준 바 있습니다. 당시 다우존스 지수의 종가는 8,612p 였습니다.
(관련글, 2009.06.16 엠파이어스테이트제조업지수 발표내용, 다우존스지수)

반면에 7월 엠파이어 지수는 호조를 보였기 때문에, 다우존스 8,616p로 +256p, 3.07% 당일 급등을 이끌었습니다.
즉, 저번달과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우존스 지수의 절대 수치로 보면, 저번달 지표 발표 직후 8,612p에서 이번달 8,616p로 +4p, 원점 수준으로 복귀한 것에 불과합니다. 즉, 증시는 대체로 경기지표 따라서 움직이는 것이죠.

한편, 미국경기가 2년여간의 바닥을 뒤로하고, 유력한 선행경기지표, 산업지표인 '엠파이어 제조업 지수'가 상승 전환을 임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므로, 기술적으로 이런 추세가 실제로 확연해 질 경우,

2009년 하반기에 미국 다우존스 지수는 연봉(Year Bar)으로 양봉을 시도할 가능성도 열려는 있습니다.
2009년 다우존스의 시초가는 약 9,000p 부근이었습니다.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 _09.07.15 (현지)



이하, 뉴욕연방은행이 발표한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6월 동향 발표 내용입니다.

 

Empire State Manufacturing Survey
 
The monthly survey of manufacturers in New York State conducted by the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July 2009 Report

Survey Indicators

Seasonally Adjusted

General Business Conditions

The Empire State Manufacturing Survey indicates that conditions for New York manufacturers were flat in July. The general business conditions index increased to a level close to zero, rising 9 points, to -0.6. The new orders index rose above zero for the first time in several months, and the shipments index also climbed into positive territory. The inventories index slipped to a record-low -36.5. The prices paid index rose above zero for the first time since November, while the prices received index held below zero. Employment indexes remained well below zero. Future indexes continued to be relatively optimistic about the six-month outlook, but were somewhat less buoyant than in June. The capital spending index fell several points, but remained above zero.

In a series of supplementary questions (see Supplemental Report tab), the median respondent indicated that total sales had fallen 15 percent from the first half of 2008 to the first half of 2009, and that the number of employees had decreased 10 percent. Declines for the full year were expected to be of the same respective magnitudes. The same questions were asked in July 2008; in that survey, sales had been seen as rising 5 percent, with employment levels being little changed. When asked if they had recently modified their production plans for the second half of 2009, close to 63 percent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scaled back plans, while just 21 percent indicated that they had increased them. This result reflects a much more negative assessment than what was reported in last July’s survey. In response to an additional set of questions new to this survey, manufacturers generally reported little effect thus far from the economic stimulus package.

General Business Conditions Index Rises, Holds around Zero
The general business conditions index rose several points in July, hovering around zero for the first time since last summer, at -0.6—suggesting that conditions neither worsened nor improved over the month. Twenty-three percent observed that conditions improved, less than the 28 percent reporting so in June, while 24 percent said that conditions worsened, well below the 38 percent who saw deteriorating conditions in June. The new orders index rose above zero for the first time since September 2008, climbing from -8.2 to 5.9. The shipments index rose similarly, from -4.8 to 11.0, its highest level in a year. The unfilled orders index held steady at -12.5. The delivery time index fell 4 points, to
-14.6, and the inventories index declined 11 points, to -36.5, a record low.

Input Prices Resume Increase
After several months of readings below zero, the prices paid index rose 16 points, to 10.4, the first positive value since November 2008, indicating that input prices are once again on the upswing. The prices received index remained negative, inching up 4points, to -8.3. Employment indexes remained negative and near June readings. The number of employees index was -20.8, and the average workweek index was -19.8.

Outlook Remains Favorable
The six-month outlook remained favorable in July, although future indexes were somewhat lower than last month. The future general business conditions index fell 14 points, but at 34.0 was well above the very low levels of earlier this year. The future new orders and shipments indexes also declined similarly. The future prices paid index rose 16 points, to 26.0, while the future prices received index held just below zero. Future employment indexes were positive. The capital expenditures index slipped 9 points, to 2.1, while the technology spending index held steady at 1.0.


(출처 :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뉴욕연방은행)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발표에 따른 다우존스 지수 영향, 2009년 6월15일, 7월15일 (현지)


[관련글]
미국 기업재고, Business Inventories 월간 -1.0% 감소 _09.07.15
미국 내구재 주문, Durable Goods Orders 1.8% 개선 _09.06.24
미국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_09.06.16


맞춤검색

,

(★ 검색으로 결과를 얻어보세요. Let's Search ★)



--> I'm Lucky 최근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