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m Lucky 최근글 <--

'실업률'에 해당되는 글 22건




  1. 2009.03.07 미국 실업률 변화 _2000.01~2009.03 _US Unemployment Rate
  2. 2009.02.28 미국증시 주간전망 _반등실패, 5,000p대 진입전망, 비중축소 _09.03.02~03.06
  3. 2009.02.15 미국증시 주간전망 _09.02.16~02.20 _ 2차 침체 부상 가능성
  4. 2009.02.07 미국증시 주간전망 _09.02.09~02.13 _경기부양안에 대한 기대
  5. 2009.02.01 환율, FX 주간전망 _09.02.02~06 _변동성 확대 가능성
  6. 2009.01.10 미국시장, Weekly Morning Brief _09.01.10 _눌림목 구간

다음은 미국 실업률 변화입니다. (기간 : 2000.01~2009.03)    



Source: Bureau of Labor Statistics, Current Population Survey


Series Id:           lns14000000
Seasonal Adjusted
Series title:        (Seas) Unemployment Rate
Labor force status:  Unemployment rate
Type of data:        Percent
Age:                 16 years and over
Year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Annual
1999 4.3 4.4 4.2 4.3 4.2 4.3 4.3 4.2 4.2 4.1 4.1 4.0  
2000 4.0 4.1 4.0 3.8 4.0 4.0 4.0 4.1 3.9 3.9 3.9 3.9  
2001 4.2 4.2 4.3 4.4 4.3 4.5 4.6 4.9 5.0 5.3 5.5 5.7  
2002 5.7 5.7 5.7 5.9 5.8 5.8 5.8 5.7 5.7 5.7 5.9 6.0  
2003 5.8 5.9 5.9 6.0 6.1 6.3 6.2 6.1 6.1 6.0 5.8 5.7  
2004 5.7 5.6 5.8 5.6 5.6 5.6 5.5 5.4 5.4 5.5 5.4 5.4  
2005 5.2 5.4 5.2 5.2 5.1 5.1 5.0 4.9 5.0 5.0 5.0 4.8  
2006 4.7 4.8 4.7 4.7 4.7 4.6 4.7 4.7 4.5 4.4 4.5 4.4  
2007 4.6 4.5 4.4 4.5 4.5 4.6 4.7 4.7 4.7 4.8 4.7 4.9  
2008 4.9 4.8 5.1 5.0 5.5 5.6 5.8 6.2 6.2 6.6 6.8 7.2  
2009 7.6 8.1                      

출처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data.bls.gov/PDQ/servlet/SurveyOutputServlet?request_action=wh&graph_name=LN_cpsbref3

Employment Situation Summary

Technical information:
  Household data:      (202) 691-6378     USDL 09-0224
              http://www.bls.gov/cps/

  Establishment data:  (202) 691-6555     Transmission of material in this release
              http://www.bls.gov/ces/     is embargoed until 8:30 A.M. (EST),
Media contact:         (202) 691-5902     Friday, March 6, 2009.
                                   
                                   
                   THE EMPLOYMENT SITUATION:  FEBRUARY 2009

   Nonfarm payroll employment continued to fall sharply in February (-651,000), 
and the unemployment rate rose from 7.6 to 8.1 percent,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of the U.S. Department of Labor reported today.  Payroll employ-
ment has declined by 2.6 million in the past 4 months.  In February, job 
losses were large and widespread across nearly all major industry sectors.

Unemployment (Household Survey Data)

   The number of unemployed persons increased by 851,000 to 12.5 million in 
February, and the unemployment rate rose to 8.1 percent.  Over the past 12 
months, the number of unemployed persons has increased by about 5.0 million, 
and the unemployment rate has risen by 3.3 percentage points.  (See table 
A-1.)

   The unemployment rate continued to trend upward in February for adult 
men (8.1 percent), adult women (6.7 percent), whites (7.3 percent), blacks 
(13.4 percent), and Hispanics (10.9 percent).  The jobless rate for teen-
agers was little changed at 21.6 percent.  The unemployment rate for Asians 
was 6.9 percent in February, not seasonally adjusted.  (See tables A-1, A-2, 
and A-3.)

   Among the unemployed, the number of job losers and persons who completed 
temporary jobs increased by 716,000 to 7.7 million in February.  This mea-
sure has grown by 3.8 million in the last 12 months.  (See table A-8.)

   The number of long-term unemployed (those jobless for 27 weeks or more) 
increased by 270,000 to 2.9 million in February.  Over the past 12 months, 
the number of long-term unemployed was up by 1.6 million.  (See table A-9.)


                               - 2 -

Table A.  Major indicators of labor market activity, seasonally adjusted        
(Numbers in thousand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Quarterly    |                          |         
                         |     averages    |       Monthly data       |  Jan.-  
        Catego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Feb.   
                         |        |        |        |        |        | change  
                         |  III   |   IV   |  Dec.  |  Jan.  |  Feb.  |         
                         |  2008  |  2008  |  2008  |  2009  |  2009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HOUSEHOLD DATA      |                 Labor force statu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Civilian labor force ....| 154,650| 154,648| 154,447| 153,716| 154,214|     498 
  Employment ............| 145,299| 144,046| 143,338| 142,099| 141,748|    -351 
  Unemployment ..........|   9,350|  10,602|  11,108|  11,616|  12,467|     851 
Not in labor force ......|  79,460|  80,177|  80,588|  81,023|  80,699|    -32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Unemployment rate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All workers .............|     6.0|     6.9|     7.2|     7.6|     8.1|     0.5 
  Adult men .............|     5.8|     6.8|     7.2|     7.6|     8.1|      .5 
  Adult women ...........|     5.0|     5.6|     5.9|     6.2|     6.7|      .5 
  Teenagers .............|    19.7|    20.7|    20.8|    20.8|    21.6|      .8 
  White .................|     5.4|     6.3|     6.6|     6.9|     7.3|      .4 
  Black or African       |        |        |        |        |        |         
    American ............|    10.7|    11.5|    11.9|    12.6|    13.4|      .8 
  Hispanic or Latino     |        |        |        |        |        |         
    ethnicity ...........|     7.8|     8.9|     9.2|     9.7|    10.9|     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ESTABLISHMENT DATA     |                     Employmen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Nonfarm employment.......| 137,004| 135,727| 135,074|p134,419|p133,768|   p-651 
  Goods-producing (1)....|  21,343|  20,803|  20,532| p20,153| p19,877|   p-276 
    Construction ........|   7,170|   6,949|   6,841|  p6,723|  p6,619|   p-104 
    Manufacturing .......|  13,388|  13,062|  12,902| p12,645| p12,477|   p-168 
  Service-providing (1)..| 115,661| 114,924| 114,542|p114,266|p113,891|   p-375 
      Retail trade (2)...|  15,331|  15,127|  15,038| p14,999| p14,960|    p-40 
    Professional and     |        |        |        |        |        |         
      business services .|  17,730|  17,485|  17,356| p17,222| p17,042|   p-180 
    Education and health |        |        |        |        |        |         
      services ..........|  18,932|  19,035|  19,080| p19,123| p19,149|     p26 
    Leisure and          |        |        |        |        |        |         
      hospitality .......|  13,452|  13,348|  13,304| p13,275| p13,242|    p-33 
    Government ..........|  22,543|  22,538|  22,532| p22,563| p22,572|      p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Hours of work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Total private ...........|    33.6|    33.4|    33.3|   p33.3|   p33.3|    p0.0 
  Manufacturing .........|    40.8|    40.2|    39.9|   p39.8|   p39.6|    p-.2 
    Overtime ............|     3.6|     3.2|     2.9|    p2.8|    p2.6|    p-.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Indexes of aggregate weekly hours (2002=100)(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        |        |        |         
Total private ...........|   106.1|   104.1|   103.2|  p102.6|  p101.9|   p-0.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Earnings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verage hourly earnings, |        |        |        |        |        |         
  total private .........|  $18.16|  $18.34|  $18.40| p$18.44| p$18.47|  p$0.03 
Average weekly earnings, |        |        |        |        |        |         
  total private .........|  610.90|  612.55|  612.72| p614.05| p615.05|   p1.0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Includes other industries, not shown separately.                           
   2 Quarterly averages and the over-the-month change are calculated using      
unrounded data.                                                                 
   3 Data relate to private production and nonsupervisory workers.              
   p = preliminary.                                                             



                               - 3 -

Total Employment and the Labor Force (Household Survey Data)

   The civilian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was about unchanged at 65.6 per-
cent.  The employment-population ratio, at 60.3 percent in February, continued 
to trend down.  The ratio has declined by 2.4 percentage points over the year.  
(See table A-1.)

   In February, the number of persons who worked part time for economic rea-
sons (sometimes referred to as involuntary part-time workers) rose by 787,000, 
reaching 8.6 million.  The number of such workers rose by 3.7 million over 
the past 12 months.  This category includes persons who would like to work 
full time but were working part time because their hours had been cut back 
or because they were unable to find full-time jobs.  (See table A-5.)

Persons Not in the Labor Force (Household Survey Data)

   About 2.1 million persons (not seasonally adjusted) were marginally at-
tached to the labor force in February, 466,000 more than a year earlier.  
These individuals wanted and were available for work and had looked for a 
job sometime in the prior 12 months.  They were not counted as unemployed 
because they had not searched for work in the 4 weeks preceding the survey.  
Among the marginally attached, there were 731,000 discouraged workers in 
February, up by 335,000 from a year earlier.  Discouraged workers are per-
sons not currently looking for work because they believe no jobs are avail-
able for them.  The other 1.3 million persons marginally attached to the 
labor force in February had not searched for work in the 4 weeks preceding 
the survey for reasons such as school attendance or family responsibilities.  
(See table A-13.)

Industry Payroll Employment (Establishment Survey Data)

   Total nonfarm payroll employment dropped by 651,000 in February.  Since 
the recession began in December 2007, about 4.4 million jobs have been lost, 
with more than half (2.6 million) of the decrease occurring in the last 4 
months.  In February, employment declined in most major industry sectors, 
with the largest losses occurring in professional and business service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Health care continued to add jobs over 
the month.  (See table B-1.)
   
   Employment in professional and business services fell by 180,000 in
February.  The temporary help industry lost 78,000 jobs over the month.  
Since December 2007, temporary help employment has declined by 686,000, 
or 27 percent.  In February, job declines also occurred in services to 
buildings and dwellings (-17,000),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ser-
vices (-16,000),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12,000).

   Widespread job losses continued in manufacturing in February (-168,000).  
The majority of the decline occurred in durable goods industries (-132,000), 
with the largest decreases in fabricated metal products (-28,000) and ma-
chinery (-25,000).  Employment in nondurable goods manufacturing declined 
by 36,000 over the month.

   The construction industry lost 104,000 jobs in February.  Employment 
in the industry has fallen by 1.1 million since peaking in January 2007.  
Two-fifths of that decline occurred over the last 4 months.  Employment 
fell sharply in both the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components of 
the industry in February.

   Employment in truck transportation declined by 33,000 in February; 
the industry has lost 138,000 jobs since the start of the recession 
in December 2007.  Nearly two-thirds of the decline (-88,000) occurred
over the last 4 months.  The information industry continued to lose
jobs (-15,000).  Over the last 4 months, employment in the industry
has decreased by 76,000, with about two-fifths of the decline occur-
ring in publishing.


                               - 4 -

   Employment in financial activities continued to decline in February
(-44,000).  The number of jobs in this industry has dropped by 448,000
since an employment peak in December 2006, with half of this loss oc-
curring in the past 6 months.  In February, job losses occurred in real 
estate (-11,000); credit intermediation (-11,000); and securities, com-
modity contracts, and investments (-8,000).

   Retail trade employment fell by 40,000 over the month and has declined 
by 608,000 since December 2007.  In February, employment decreased in auto-
mobile dealerships (-9,000), sporting goods (-9,000), furniture and home 
furnishing stores (-8,000), and building material and garden supply stores 
(-7,000).  Employment in wholesale trade fell by 37,000 over the month, 
with nearly all of the decline occurring in durable goods.

   Employment in leisure and hospitality continued to trend down over the 
month (-33,000), with about half of the decrease in the accommodation in-
dustry (-18,000).

   Health care continued to add jobs in February, with a gain of 27,000.  
Job growth occurred in ambulatory health care (16,000) and in hospitals 
(7,000).

   The change in total nonfarm employment for December was revised
from -577,000 to -681,000 and the change for January was revised from
-598,000 to -655,000.  Monthly revisions result from additional sample
reports and the monthly recalculation of seasonal factors.

Weekly Hours (Establishment Survey Data)

   In February, the average workweek for production and nonsupervisory
workers on private nonfarm payrolls was 33.3 hours for the third month
in a row.  Both the manufacturing workweek and factory overtime de-
creased by 0.2 hour over the month to 39.6 and 2.6 hours, respectively.  
(See table B-2.)
   
   The index of aggregate weekly hours of production and nonsupervisory 
workers on private nonfarm payrolls fell by 0.7 percent in February.  
The manufacturing index declined by 2.0 percent over the month.  (See 
table B-5.)

Hourly and Weekly Earnings (Establishment Survey Data)

   In February, average hourly earnings of production and nonsupervisory 
workers on private nonfarm payrolls rose by 3 cents, or 0.2 percent, sea-
sonally adjusted.  Over the past 12 months, average hourly earnings in-
creased by 3.6 percent, and average weekly earnings rose by 2.1 percent.  
(See table B-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e Employment Situation for March 2009 is scheduled to be released
on Friday, April 3, at 8:30 A.M. (EDT).

출처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www.bls.gov/news.release/empsit.nr0.htm




맞춤검색

,

경기개선 지연되며, 오히려 추가악화하고 있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의 속도나 폭도 지연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 반등에 실패, 큰 폭의 추가 하락이 전망되므로, 주식비중을 일괄적으로 축소합니다.
또한 세계무역의 침체와 전반적인 세계경제의 축소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므로, 주식 전반에 대한 매력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에너지 파동의 추세와 단절되면서, 새로운 하락의 흐름이 조성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전망과는 달리, 아주 상당한 기간동안 침체와 하락횡보 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보다 깊은 분석과 전망은 새 글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ASSETGUIDE  US Market Weekly Morning Brief _09.03.02~03.06

다우존스 5,000p대 진입 가능성 유력. 주식 축소. 주식의 시대 저물고 있다.

다우존스는 회복세를 보여야할 최소 주간에 기술적 반등에 실패, 하락의 에너지를 쌓으면서, 4차 갭다운(gap-down) 문턱에 진입하였습니다.
5,000p대로 하락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므로, 주식 비중을 일괄적으로 축소합니다.

2.23~2.27 다우존스(DJIA, Dowjones Index) 흐름
결국 2009년 연초부터 회복세가 나타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는, 9,000p로부터 일관된 후퇴파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7,000p 붕괴의 문턱에 진입해 있으나, 추가 붕괴를 암시하고 있습니다.

주간 흐름의 경우에도 반등다운 반등없이, 주 중반경에 기술적 반등에 머무르며,
주말경 재차 7,000p의 문턱에 도달한 모습입니다.

일관된 하락파가 진행되며, 추가붕괴를 앞두고 있는 모습

2.23~2.27 주요 경기지표 _ 계속 악화되고 있는 경기지표, 시장은 약세로 반영
지난주 경기지표는 주간 전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계속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소비자컨피던스는 계속 악화하고 있으며, 주택판매도 저조하고, 실업률은 다시 오르고 있고, 내구재 주문도
최악의 흐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예비 분기GDP의 경우 -6% 이상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미국 당국의 정책 대응은 너무 속도가 느리고 안이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적어도, 경제에서만큼은 느슨해진 미국, 안이하고 해태한 미국의 태도로부터 이런 사태가 촉발한 것이므로,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도덕성과 근면성을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나,
그러한 폭과 속도, 내용도 지연되면서,
과연 미국조차도 적정 시기에 돌아설 수 있을가에 대해서 회의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3.02~3.06 주요 경기지표 발표일정 _소비, 고용, 베이지북, 실업률 지표 등 발표되며 시장 충격 전망
다음주에는 주요 소비, 고용 지표, 베이지북(Beige Book), 실업률 지표 등이 발표됩니다.

저번주에 악화된 경기지표를 시장이 약세와 7,000p 붕괴의 문턱 진입으로 반응했기 때문에,

다음주에 추가 악화될 것으로 보이는 경기지표에 따라서, 다우존스의 경우, 다음주부터 7,000p를 붕괴시키고,
6,000p대는 물론, 저점권을 확인하기 위해 5,000p대로 진입해 갈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밴드권의 운동이 아니라 상당한 추가 하락과 시간적 하락횡보국면이 전망되므로,
주식비중도 기존의 2/5 스탠스에서 절반 이하로 월요일 시초가로 줄일 예정입니다.

전반적으로 보면, 적정 반등 시점에 반등하지 못하며, 시장은 기존추세와 에너지적으로 단절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새로운 에너지의 추세로 중장기의 하락횡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문명사적으로 보면, 당분간 주식의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이는 새 글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2.23~2.27 주요 경기지표
Durable Good Orders, 내구재주문의 변화
2008년 연초부터 전혀 개선의 기미가 나타지 않고 있으며, 2008년 중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계속 악화되고 있음

전략, Position & Strategy
현재 2/5~3/5 비중인 주식에 대한 잠정적 투자 비중을 절반으로 줄입니다.
즉, 2/5 --> 1/5 수준으로 줄입니다.

당초의 경기개선 속도에 대한 기대가 무산되었고, 기술적으로 상당폭의 추가하락이 전망되므로, 누적평가손익에 상관없이, 당분간 일괄적으로 주식비중을 절반으로 줄입니다. 월요일 시초가로 단행할 예정입니다.


맞춤검색

,
 
미국증시 주간전망입니다. (09.02.16~09.02.20)  2차 침체 부상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계를 요합니다.



US Market Weekly Morning Brief _09.02.16~02.20
_ 2009.02.15.일

7,870억달러 경기부양안에 불만족 _ 하락 에너지 쌓이고 있어, 기술적 추가 하락 가능성 높음

저번주에는 7,87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이 최종 논의되면서 통과되었으나, 시장은 이에 냉담한 모습입니다.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의 경우 1.4조달러 이상 경기부양안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하였습니다.

기술적으로 최근 계속 밀려오면서 하락에너지가 쌓이고 있고, 저번주에도 돌리지 못했기 때문에,
경기지표까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기술적인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음주는 다소 관망이 좋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코스피에서는 2/5~3/5 정도의 비중을 2008년 10월말~11월말부터 편입하여 유지해가는 전략이 계속 동일하므로, 기존의 전략과 스탠스는 계속 변함이 없습니다.


2.09~2.13 다우존스(DJIA, Dowjones Index) 흐름

8,000p대를 지키지 못하며, 최근 3개월은 물론, 주초반 8,300p대로부터도 줄곧 밀려 내려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2.08~2.13 주요 경기지표 _ 소비침체 심각, 기업활동 위축 심화, 소비자 심리 위축

미국은 2008년 초부터의 상황 자체만을 고정적으로 본다면 이미 현실적으로 경제대공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_ 다만, 연초부터 지속적으로 금리인하와 구제금융을 병행하면서, 계속 관리해 왔기 때문에, 현재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_ 미국의 문제는 결국 자신들의 생산력, 부가가치 창출이 뒷받침하지 않는,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과, 파생시장이 창조한 가짜화폐 시장의 붕괴로부터 비롯되었으므로,
먼저 기술적인 차원에서, 완화된 통화정책으로 광범위한 통화, 유동성공급을 확장하는 것은 매우 적절합니다.

_ 이러한 통화정책 이후에는 그러한 화폐가 실질적인 생명력과 경제적 가치(value)를 가질 수 있도록, 조속한 재정/사회/SOC정책을 시행해 주어야 하고,
미국은 현재 정권교체와 함께 그러한 시점에 있으며, 이러한 추가대응이 지연되고, 대응의 내용이 부적절하다면 시장은 그에 따른 영향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경기 자체는 현재 경기악순환구조에 들어서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악순환고리를 깨주기 위해서는, 정책적 경기부양을 통한 Spark를 줄 필요가 있습니다.
_ 왜냐하면, 정책금융당국이 작년 연초부터 정책적 판단과 인위적 개입으로 광범위한 통화/구제금융정책을 시행해 왔기 때문에, 그에 대한 추가책임으로 재정정책까지
조속하고, 계획적으로 챙겨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기부양안(Sparkling)의 규모와 효과, 시기과 속도에 대해 시장이 냉담한 모습입니다.
_ 경기부양법안 통과, 시행의 지연,
_ 경기부양 규모에 대한 시장의 냉담한 반응

또한, 저번주 경기지표를 보면, 소매판매(Retail Sales)는 소폭 늘었으나, 저번달이 -3.0%인 탓이고,
기업재고(Business Inventories)는 줄고 있으나, 소비가 늘어서가 아니라, 소비가 침체하여, 생산을 늘리지 못하고 있어서이므로, 좋은 내용이 아닙니다.
소비자심리도 추가로 악화되었습니다.


2.09~2.13 주요 경기지표

Retal Sale, 소매판매 월간 변화율,  2008년 연중 좋지 않은 영향 전월 폭이 컸던 탓에 일시적 개선 추세 전환 보기 힘듦
주간 실업청구건수, 계속 확대중
Business Inventories, 기업재고율, 기업재고율 급격히 감소 _활황, 소비가 늘어서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침체로 인해 생산을 못해서 감소 중
_ 악순환 과정 이미 들어서 있는 상태
Consumer Sentiment, 소비자심리, 최저권에서 다시 추가 위축

기업재고/매출비율의 변화(Total Business Inventories /Sales Ratios : 1999 to 2008)
기업재고(Business Inventories)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BI/SR 비율이 급격 상승하고 있는 것은 소비침체가 극도로 심각하거나, 기업이 생산을 늘리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

  
2.16~2.20 주요 경기지표 발표일정 _생산지표 안좋으면, 2차 침체 부상 가능성

다음주에는 생산관련 지표, 물가관련 지표 두 축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악화에 따라 국제금(gold)시세를 제외하고는, 유가(Oil)는 다소 안정화되 있기 때문에, 물가압박이 당분간 다시 올라서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생산관련 지표의 경위, 위에서 차트와 도표를 살펴본 바와 같이,  2차 추가 침체 부상 가능성,
이로 인해 시장의 추가 타격 가능성이 엿보이고 있기 때문에, 상당한 경계를 요합니다.
이미, 적어도 2008년 12월이 경기의 저점은 아니다라는 점을 최근에 잠정적으로 확인해 본 바 있으나,
이를 확장하여, 2009년 1월은 물론, 2009년 2월도 경기의 저점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기부양의 폭과 속도, 질적 수준의 지연, 경기회복의 지연과 재침체로 인하여, 시장이 추가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계하고 관망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맞춤검색

,


US Market Weekly Morning Brief _09.02.09~02.13


US Market Weekly Morning Brief _09.02.09~02.13

8,000p 부근에서 약세 경계 주간이었으나, 주후반 경기부양안 기대감으로 다소 상승

저번주는 기술적으로, 경기지표 내용으로도 상당한 경계 주간이었으나, 오바마정권과 미국 의회의 경기부양안에 대한 잠정적인 기대감으로, 8,000p 부근에서 잠정적인 박스를 보인 상태에서, 주후반 이러한 기대감이 금요일 다우존스 +200p 이상의 상승으로 반영되면서, 장을 마감한 모습입니다.
이러한 제한적인 다우존스 지수의 움직임은 현재 상당히 다행스러운 흐름입니다.

저번주 주간 경기지표를 보면, 실업청구건수는 -626K로 34년만에 최고치, 실업률은 7.6%로 16년만에 최고치를 보여,  미국 경기는 아직도 침체의 중심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침체의 추가 충격을 제어하고, 가짜화폐들을 대체하기 위해서, 광범위하게 풀리고 확장된 통화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이제 조속히 재정/사회/SOC정책이 집행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기지표 자체만 볼 때는 지난 한 주의 지수 움직임이 매우 우려스러웠지만, 미국의회에서 약 7,80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에 잠정합의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주 후반 다소 안도하는 지수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미국재무부가 9일 오후, 추가 구제금융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2.02~2.06 주요 경기지표 _ 실업청구 626K 34년래 최악, 실업률 7.6% 16년래 최악 _ 경기침체의 중심을 지나고 있는 미국시장

미국은 2008년 초부터의 상황 자체만을 고정적으로 본다면 이미 현실적으로 경제대공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_ 다만, 연초부터 지속적으로 금리인하와 구제금융을 병행하면서, 계속 관리해 왔기 때문에, 현재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_ 미국의 문제는 결국 자신들의 생산력, 부가가치 창출이 뒷받침하지 않는,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과, 파생시장이 창조한 가짜화폐 시장의 붕괴로부터 비롯되었으므로,
   먼저 기술적인 차원에서, 완화된 통화정책으로 광범위한 통화, 유동성공급을 확장하는 것은 매우 적절합니다. 
_ 이러한 통화정책 이후에는 그러한 화폐가 실질적인 생명력과 경제적 가치(value)를 가질 수 있도록, 조속한 재정/사회/SOC정책을 시행해 주어야 하고, 미국은 현재 정권교체와
   함께 그러한 시점에 있으며, 이러한 추가대응이 지연되고, 대응의 내용이 부적절하다면 시장은 그에 따른 영향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경기 자체는 현재 경기악순환구조에 들어서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악순환고리를 깨주기 위해서는, 정책적 경기부양을 통한 Spark를 줄 필요가 있습니다. 
_ 왜냐하면, 정책금융당국이 작년 연초부터 정책적 판단과 인위적 개입으로 광범위한 통화/구제금융정책을 시행해 왔기 때문에, 그에 대한 추가책임으로 재정정책까지 조속하고, 계획적으로 챙겨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2.02~2.06 다우존스(DJIA, Dowjones Index) 흐름

다우존스는 주중에도 8,000p를 여러 차례 하회하며, 7,900p대에서도 상당 시간 머물렀으나, 주중반부터 경기부양안에 대한 기대감으로 8,300p 부근까지 상승세를 이어간 모습입니다. 분기 추세로 오면 2008년 10월 추가 급락파 이후에 8,000p대를 지지권으로 하는 박스권이 약 4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2.06 나스닥(NASDAQ) 흐름

저번주에는 특히 나스닥의 흐름이 좋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나스닥은 작년말 금융위기의 와중에 1,300p 초반까지 하락한 이후에, 1,600p대까지 재반등하기도 했지만, 최근 다시 1,400p 초반까지 하락하면서 약세를 보여왔는데, 금주에 1,400p 중반대까지 1,600p 초입까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향후 기술적 흐름에 대한 좋은 징조를 보이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당사이트는 이미 2008년 11월 초부터, 즉 나스닥이 1,300p 초반일때부터, 나스닥이 10년래 새로운 강세의 사이클에 진입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관련글: "나스닥은 왜 점차 강세로 가는가")
이러한 관점에서 오라클ORCL, 시스코CSCO, 구글GOOG, 인텔INTC, 휴렛패커드HP,애플AAPL 등에 대한 편입을 강력하게 실행해야 하며, 글로벌 메모리 핵심업체들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말씀드렸습니다. (관련 글들은 본문의 링크 참조)

참조: 나스닥은 왜 점차 강세로 돌아서는가?

급기야 금주 주말에는 닥터 둠 파버 조차  미국 기술주에 대한 비중을 높이라고 조언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당사이트의 기존 분석과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추천 종목도 시스코, 인텔,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등을 들고 있어서, 급기야 닥터 둠도 이제 당사이트를 참고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당사이트는 추천종목으로 MS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GOOG 구글을 추천합니다.


2.02~2.06 나스닥(NASDAQ) 흐름

나스닥은 주초반부터 다우존스 흐름에 아랑곳없이 강력한 상승의 흐름을 이어간 모습으로, 연말연초에 일시적으로 탈환한 1,600p대 문턱에 재차 이르러, 고지의 탈환을 앞두고 있는 모습입니다.


 2.09~2.13 주요 경기지표 발표일정 _소매판매, Retail Sales

다음주에는 1월 중순에 경기회복 선기대감을 무산시켰던 소매판매(Retail Sales) 1월 지표가 발표됩니다. 12월 소매판매지표가 기대보다 훨씬 나빴기 때문에,  2009년 1월 지표는 다소 완화될 가능성이 크지만, 의외로 또 나쁘다면 추가충격이 가능하겠으나 그 가능성은 많이 낮아 보입니다. 

현재 미국시장의 컨센서스는 경기회복 선기대감이 무산된 상태에서, 경기침체의 현실을 인정하되, 이러한 상황을 제어하고, 극복을 향한 Spark를 줄 수 있는 정책당국의 경기부흥정책안과 그 집행을 기다리고 있는 국면이고, 결국 주말 뉴스에서 나오는 바와 같이 경기부양법안통과에   대해서 집중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다음주에 이러한 경기부양법안의 방안과 경기부양정책의 속도가 빨라지고, 주요경기지표에 별 다른 내용이 없다면, 기술적으로 추가 반등이 가능해 보입니다. 
물론, 2008년 노벨상 수상자 폴크루그먼 교수가 지적하듯이, 7,90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이 충분한가에  대한 지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경제는 현재 인위적인 부양과 제어가 없다면, 이미 경제대공황 상태로, 어떤 경우이든 조속한 경기부양 정책이 집행될 필요가 있는 시점으로 생각됩니다.

국내증시의 경우에는 외국인매수세의 조력으로 기술적 경계시점을 일단 무사히 넘겼으므로, 제한적 보유비중을계속 유지합니다.

 

 


맞춤검색

,


환율, FX 주간전망입니다. (09.02.02~02.06)

그림을 클릭하면 잘 나옵니다.



환율/FX 주간 전망 _09.02.02~06

[ 원/달러 환율 ]  _방향성 모색하며 횡보중 _잠재적 에너지 내재(內在)

설 연휴 이후 국내 주식시장이 3거래일 동안 반등을 보인 관계로, 변동성 확대 없이 횡보 흐름을 이어간 모습
저번주 발표된 미국 내구재주문, GDP, 시카고 제조업지수 등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고,  국내 산업활동동향, 경기동행지수, 경기선행지수 흐름도 모두 부정적
다음주 발표될 미국 주요경기지표의 내용도 호락호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고, 영향력은 클 것으로 보여,
주식시장이 영향을 받는다면, 환율도 2~3주간의 횡보국면을 벗어나서 움직일 가능성 높은 상태

[ 원/엔 환율 ]  _방향성 모색하며 횡보중 _ 잠재적 에너지 내재(內在)
원달러환율과 동일한 매커니즘
약 한 달간의 횡보국면을 벗어나서 변동성 확대될 가능성
 
[ 엔/달러 환율 ]  _90엔 밑단에서 저공 횡보
90엔을 중심으로 윗선을 올라서려고 하는 기술적 반등의 흐름은 있었으나, 주식시장의 약세 관계로 종가상으로 올라서지 못한 모습
다음주 주식시장 약세이면 하단으로 충격받을 가능성

2.2~2.6 미국 주요 경기발표 일정 _ 비농업고용인수, 주간실업청구건수, 공장재주문, 실업률 지표
다음주 다우존스는 기술적 흐름상 부정적 전망이 일단 우세해 보입니다.
다음주 주요 경기지표를 보면, 최근 1분기이래 시장에 충격을 주었던 내용들입니다.
_ 비농업고용인수, 주간실업청구건수, 공장주문, 실업률
이러한 지표들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으면, 시장은 다소 의기소침할 것이고, 더 악화된 것으로 나온다면, 추가충격이 가능해 보여서 경계가 필요해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미국시장은 시장의 자율적 흐름으로는 위기의 구조와 침체상태를 쉽게 벗어날 수 없는 국면으로,
결국 정부와 당국의 계속된 유동성개선 정책 이후로,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어떤 재정/사회/SOC정책을 효과적으로, 단계적으로, 그리고 조속하게 추진하여서,
시장에 Spark(추동력)를 줄 수 있을 것인가가 남아있는 희망, 주요 변수라 하겠습니다.
즉, 이제는 유동성개선 대책 이후로, 실질적 재정/사회/SOC정책이 집행, 시작되야 하는데,
그 내용과 속도, 효과에 따라 시장의 개선 시기가 결정될 것입니다.
현재는 아무 것도 시작된 것은 없으므로, 이른 시점이라고 하겠습니다.

 


맞춤검색

,

그림을 클릭하면 잘 나옵니다. 

골드크로스 이후에 이평선을 재확인하고, 눌림을 통한 탄성을 강화하는 구간으로 생각됩니다.



토요일 오전에 찾아가는,
한 주간 미국증시를 살펴보고, 다음 주를 조망하는,
부지런한 당신을 위한,
Weekly  US Market Morning Brief 입니다.

[Brief]
눌림목, 짧은 혼조장세 구간 진입

다음주는 혼조장세, 눌림목 장세가 전망됩니다.

8,500p를 중심으로 한 단기운동밴드에서 아랫단의 영역이고, 중장기 추세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기술적 눌림목 과정이라 생각되므로, 미국시장이나 한국시장이나 눌림목시 매수의 관점으로 대응하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50, 60일 이평선에서 재차 탄성을 재축적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시장이 즉각에 급격히 상승할 시점도 아니므로, 연중 개선세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중기적 관점에서 
보유비중을 적절하게 잘 관리하고, 시간적으로 여유롭게 대응하는 자세가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1.4~1.10 주요 경기발표 내용 _ 공장재주문, 비농업고용인수, 실업률 악화
저번주 주요 경기 지표를 보면, 공장재주문, 비농업고용인수, 실업률 등이 여전히 좋지 않은 모습이지만,

이런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시장의 컨센서스로 느끼고 있고, 이를 또한 시장의 시세가 반영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미 금요일까지의 종가에 다 반영된 마당에, 냉담한 대응은 필요없어 보입니다.

세계경기나 미국경기나, 증시 지수나 즉각적으로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충분히 하락해 있는 상태에서, 연간으로 점진적인 회복세를 전망하는 것이므로, 
천천히 차근차근 대응하고 시간적으로 여유를 두고 기다려 가는 자세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1.11~1.17 주요 경기발표 일정
다음주에는 주로 물가관련 지표들이 발표되는데, 안정화 추세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눌림목이거나, 혹은 밴드 저점대에서 다시 밴드 내에서의 회복세가 전망되므로,

저가매수의 관점, 제한적인 후발 매수의 관점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한 주로 생각됩니다.



 


맞춤검색

,

(★ 검색으로 결과를 얻어보세요. Let's Search ★)



--> I'm Lucky 최근글 <--